아이콘
실습하기 이번 시간 학습한 내용을 실습해 보세요. 실습하면서 느낀점을 다른 학생들과 공유해보세요.
1. 온도 프로파일 조건
1) 구간별 온도 조건
① Reflow(Reflow)의 예열 구간은 온도조건은 필요한 온도가 150 ~ 180도 이내 유지 시간은 80 ~ 100초
    이내를 말합니다.
② 가열부의 조건- 납을 용융하기 위한 평균온도 220도, 유지 시간은 30 ~ 40초(최대 60초)- Peak 온도는
    최대 230~ 250도 사이이며, 그 안에서 평균 온도를 맞춤
③ Reflow(Reflow)의 냉각 구간은 가열부에서 납땜을 한 이후에 온도를 식히기 위한 조건으로
    하강 온도는 -2 ~ -10/초로, 전체적인 냉각 시간은 20~80초 이내로 조정합니다.
④ 승온 구간의 조건 및 불량은 PCB가 리플로우에 투입되면 실온 ~ 150도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
    솔더내 휘발성 솔벤트가 증기화되면서 PCB를 가열합니다.
1. 온도 프로파일 조건
1) 구간별 온도 조건
⑤ 가열하는 온도는 1 ~ 4도/초까지 증가를 시키고,유지 시간은 40 ~ 150초 이내로 조정합니다.
⑥ 2.5도/초를 초과하면 솔더볼, 솔더 필릿, 브릿지의 무너짐이 발생하고 열 충격 및 균열에 대한 부품의
    잠재적인 위험이 증가합니다.
⑦ 온도 상승이 너무 느리면, 플럭스의 활성화가 불충분하게 됩니다. 온도가 낮으면 용융 될 때까지 온도차가
    심하여 맨하탄 및 냉납이 발생합니다.
⑧ 예열 구간은 기본적인 온도는 150 ~ 180도 사이이며, 유지 시간은 80 ~ 100초 이내(최대 120초)까지
    PCB 및 부품을 예열합니다.
⑨ 솔더 페이스트의 휘발성 제거 및 플럭스를 활성화 할 수 있고, 부품 Lead와 PCB PAD 위의 산화물을
    제거할 수 있습니다.
⑩ 납땜이 일어나는 온도에 근접 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간입니다.
1. 온도 프로파일 조건
1) 구간별 온도 조건
⑪ 가열 구간은 평균온도 220도에서 납땜을 할 수 있는 구간으로 보통 시간은 30 ~ 40초 정도를 유지하고,
    Peak 온도는 230 ~ 250도 이내로 설정 하고 최대 90초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(평균온도와 Peak 온도의
    편차는 5도 이내로 조정).
⑫ 가열 구간은 액화온도, 솔더의 녹는점을 말합니다. 액체 상태의 시간 초과는 연결부를 손상 시킵니다.
⑬ 액체 상태의 시간 미달은 솔벤트와 플럭스를 방해하여 냉납, 무딘 연결부가 발생합니다.
⑭ 불충분한 시간과 온도의 관계는 플럭스의 세정 효과를 감소시키고, 젖음성을 증가시키며,
    땜납 연결부에 구멍을 발생 시킵니다.
1. 온도 프로파일 조건
1) 구간별 온도 조건
⑮ 냉각 구간은 -2 ~ -10도/초로 220 ~ 50도까지 냉각을 시키고 냉각 시간은 대략 20 ~ 85초까지 이내로
    유지합니다.
⑯ 불량 조건이 되면 급속 냉각은 크랙(균열)을 발생 시키고, 완만한 냉각 시에는 부품의 접합이 약해집니다.
실습이미지
2. 온도 프로파일러 체커 사용법
1) 온도 측정 준비물
① 온도 측정을 위해서 필요한 준비물을 준비합니다.
    - 마이크로 프로파일러(메모리유니트), 6개 온도센서(열전대선), 보호케이스, 통신케이블,
      매뉴얼과 프로그램 설치 CD, 내열 장갑, 내열 테이프
② 온도 센서(열전대선)는 PWB의 외곽 4곳에 센서를 부착 합니다. 측정부가 PCB 표면에서 떨어지지
    않도록 넓은 내열 테이프로 여러번 고정합니다.
실습이미지
2. 온도 프로파일러 체커 사용법
2) 온도센서(열전대선) 고정
① 온도 컨트롤러(메모리유니트) 초기화 방법은 On 스위치를 올리면 R/W 램프는 3 ~ 5초 이내에
    적/녹 램프가 교차 점등 후 녹색등으로 전환 합니다.
② STR S/W은 온도 측정을 시작하는 스위치로 On을 한 뒤, 보호케이스 안에 넣고 잠급니다.
실습이미지
2. 온도 프로파일러 체커 사용법
3) 승온구간 온도 분석
① 승온 구간 온도 분석은 승온에 대한 온도 설정을 바꾸고 화면의 ‘Diplay'를 재 선택합니다. 시작온도는
    30도부터 설정합니다.
② 승온 온도는 실온(30도) 선택을 하고 그래프의 최대 온도 측정선을 150도로 설정 합니다.
    T2에서 T1를 뺀 값과 기준시간(40~130초 이내)를 비교하고, 필요하면 조정합니다.
실습이미지
2. 온도 프로파일러 체커 사용법
4) 예열 구간 온도 분석
① 예열 구간의 기준은 180도로 마우스로 180도에 크로스되는 라인을 선택 합니다.
② T3에서 T2를 빼고, 기준 시간(80~100초)을 비교하고, 필요하면 시간을 조정합니다.
③ 리플로우 존 1 ~ 2까지는 승온 구간이며, 리플로우 존 3 ~ 6까지는 예열 구간이고,
    리플로우 존6 ~ 존8 까지는 가열(납땜)구간이며, 존9부터는 냉각구각입니다.
실습이미지
2. 온도 프로파일러 체커 사용법
5) 가열(납땜) 구간 온도 분석
① 그래프의 곡선에서 평균온도인 220도에서 이어지는 곡선 구간을 선택합니다.
② T4에서 T3를 뺍니다. 가열은 평균온도 220도이고, Peak 온도는 240±10도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을
    조정합니다.
실습이미지
2. 온도 프로파일러 체커 사용법
6) 냉각 구간 온도 분석
① 냉각은 그래프의 가열 평균온도 220도에서 50도가 되는 그래프 부분을 선택 합니다. T5에서 T4를 빼고
    속도와 온도를 조정합니다.
② 핵심은 예열구간 및 가열구간의 조건을 분석하고, 리플로우 본체에 적용하고 온도 측정을 다시 해서
    분석결과를 확인합니다.
index 열기
  • SMT응용
  • 13주차2강 온도 검출 및 분석
  • 배경이미지